탐구하고 정리하고 쓰는 법: ChatGPT로 교과 정보를 나만의 언어로 바꾸기
교과 프로젝트를 시작해 아이가 스스로 주제를 정했다면, 이제 남은 과제는 ‘그 내용을 어떻게 조사하고 정리할 것인가’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조사 활동을 할 때 곧잘 자료를 복사하거나, 인터넷에 나온 문장을 그대로 옮겨 적고 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프로젝트는 그저 정보 나열에 머무르고, 아이의 생각이나 표현은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찾는 능력’ 못지않게 정보를 자기 언어로 바꾸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AI 세대에게 필요한 진짜 학습력은, 누가 설명해 준 내용을 받아 적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해한 방식으로 다시 설명하고 표현하는 힘에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가 프로젝트 주제를 정한 뒤, ChatGPT와 함께 정보를 탐구하고, 요약하고, 정리하고, 나만의 언어로 글을 쓰는 훈련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단순한 도구 활용을 넘어, AI와 함께 생각을 넓히고 정리하는 실전 전략을 아이 수준에 맞춰 구성해 보았습니다.
1. 탐구 자료 수집, ChatGP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아이들이 정보를 찾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인터넷 백과사전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거나, 여러 글을 무작위로 읽고 중요한 내용을 추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입니다. 이때 ChatGPT는 정보 탐색의 출발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대로 베끼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탐구 흐름에 맞는 정보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예시)
질문 1: “초등학생이 ‘플라스틱 쓰레기의 문제점’을 조사하려고 해. 간단히 알려줘.”
→ 요점 중심의 요약 제공
질문 2: “이 내용을 3학년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바꿔줘.”
→ 난이도 조절된 설명으로 변환
질문 3: “환경 문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 입장을 각각 알려줘.”
→ 비교 사고를 위한 정보 정리 가능
이러한 방식으로 탐구 주제에 대한 배경 지식, 입장 정리, 실생활 사례까지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2. 정보 정리와 요약, 아이가 할 수 있는 수준으로 훈련하기
ChatGPT가 제공하는 정보를 단순히 ‘읽는 것’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아이 스스로 요약하고 정리하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래는 아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실전형 요약 활동 예시입니다.
핵심 문장 찾기 | 제공된 설명에서 가장 중요한 1~2문장 고르기 | “플라스틱은 자연에서 썩지 않아 바다 생물에게 해롭다.” |
문장 나누기 | 긴 문장을 짧게 쪼개서 정리 | “플라스틱은 썩지 않는다. 바다 생물이 먹고 다친다.” |
내 말로 바꾸기 | 읽은 내용을 친구에게 설명하듯 말로 풀기 | “플라스틱 때문에 물고기가 다치기도 해.” |
표로 정리하기 | 원인-문제-해결 방식으로 도식화 | 아래 참고 |
예:
주제: 플라스틱 문제원인문제점해결 방법
일회용품 사용 증가 바다 생물의 생명 위협 다회용 텀블러 사용하기
이러한 활동을 ChatGPT와 병행하면, 아이의 ‘정보 해석력’과 ‘정리력’이 함께 강화됩니다.
“이 글의 중심 생각이 뭐야?”, “이건 왜 문제일까?”, “넌 어떤 해결 방법이 괜찮다고 생각해?” 같은 질문을 ChatGPT에 하면서, 아이가 말한 내용을 다시 문장화해보는 과정을 반복해 볼 수 있습니다.
3. 나만의 언어로 바꾸기, 어떻게 훈련할 수 있을까?
정보를 이해했다고 해서 반드시 잘 말하거나 글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아이들은 어휘가 제한되어 있거나, 문장 구성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 언어로 바꾸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말하기 → 글쓰기로 연결하는 훈련입니다.
단계별 접근 예시
① 아이가 말한 생각을 ChatGPT에 입력
→ “우리 학교에서도 플라스틱을 많이 써서 문제야.”
② “이 문장을 초등학생의 주장문 형식으로 바꿔줘.”
→ “나는 우리 학교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플라스틱이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③ 아이가 문장을 참고해 다시 자기식으로 바꾸어보는 훈련
→ “나는 우리 급식실에서 일회용 수저를 안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플라스틱을 줄이면 바다 생물에게도 좋을 것 같다.”
이 과정은 단순히 문장을 다듬는 것을 넘어,
아이의 사고를 정리하고 구조화하며 글쓰기의 기초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활동입니다.
4.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 확장하기
정보를 자기 말로 정리한 뒤, 이를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면 프로젝트는 완성도를 갖추게 됩니다.
아이 수준에 맞는 대표적인 표현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관찰일지 | 관찰 내용을 날짜별로 정리 | ‘우리 아파트 쓰레기통 주변의 플라스틱 수거량’ |
② 카드뉴스 | 핵심 문장 5~6개로 구성 | ‘플라스틱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
③ 미니 발표 | 조사 내용을 정리해 구두 발표 | ‘환경을 위한 내가 만든 규칙 3가지’ |
④ 에세이 | 문제 → 원인 → 해결책 흐름 정리 | ‘플라스틱 없이 살 수 있을까?’ |
이러한 표현 형식은 ChatGPT를 활용해 구조나 문장을 함께 만들어보면서 아이 스스로 주도권을 갖고 구성해 보는 훈련으로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카드뉴스용 문장을 5 문장으로 만들어줘”라고 요청하면 제목, 문제 설명, 사례, 해결 방법, 마무리 문장을 일목요연하게 제시받을 수 있습니다.
교과 프로젝트는 단순한 과제 활동이 아니라, 아이의 사고력과 표현력이 동시에 성장하는 중요한 교육 기회입니다. 특히 AI 세대 자녀에게 필요한 것은 정보 수집 그 자체보다 정보를 이해하고, 자기식으로 정리하며, 자신의 언어로 다시 표현해 보는 과정입니다.
ChatGPT는 이 과정을 도와주는 강력한 파트너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수준에 맞게 설명을 풀어주고, 요약을 도와주며, 문장 구성을 제안해 주는 대화형 AI는 결코 정답을 주는 도구가 아니라, 생각을 확장하고 스스로 표현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도구입니다. 아이에게 “이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너는 어떻게 느꼈어?”, “이걸 친구에게 설명한다면 뭐라고 말할래?” 같은 질문을 ChatGPT와 함께 나눠보세요. 그 속에서 아이는 지식을 ‘자기화’하고, 생각을 ‘콘텐츠’로 바꾸는 경험을 쌓게 될 것입니다.